Page 12 - Mission Journal
P. 12
초 대 칼 럼
이세형 박사 (협성대학 )
세계에 흩어져 하나님 나라의 선교를 교에서 선명하게 드러납니다. 헨리 나우
위해 수고하는 모든 선교 사역자들과 선 웬에 따르면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받은
교 저널을 위해 수고하는 분들께 하나님 사람들입니다. 하나님의 사랑받은 사람들
의 은총과 평화가 함께 하시기를 기원합 의 과제는 하나님의 사랑받은 사람이 되
니다. 이 글을 쓰고 있는 요즘 세계는 코 는 것이고 이는 하나님의 사랑을 살아내
로나 19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하여 모 는 것으로 이어집니다.
든 일들이 멈춰 선 것 같은 느낌입니다. 우리가 선교사로 선교지에 발을 내디
딘 것은 하나님의 자녀 됨을 넘어 열방의
신앙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되기 위함입니
다. 잠시 어머니의 삶을 생각해 봅시다.
어머니는 태 안에 아기를 갖는 순간, 자신 나 결혼을 하면서 어머니를 떠나갑니다.
안에 잠재되어 있던 또 다른 존재의 신비 그런데 우리는 종종 아이가 몸으로는 어
의 세계를 만납니다. 단순한 한 여성이 아 머니의 품을 떠났는데 생각과 무의식적
니라 이 땅에 생명을 잇는 모성을 경험합 영역에서는 아이를 떠나보내지 못한 어머
니다. 자기애적이고 이기적이었던 여성이 니를 만납니다. 떠나 보내주지 않는 어머
니를 가진 아이는 불행합니다. 그(그녀)의
인간의 욕망이 생태 세계를 교란시켜 생 생각과 무의식에는 엄마의 지배를 받고
긴 이 재난 앞에서 인류는 어디서 삶을 멈 있고 엄마의 그늘아래 의존되어 있어 누
춰서고 어디로 돌아갈 것인지를 깊이 성 구를 사랑할 수도 없고 자기의 독립된 삶
찰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. 을 살아 낼 수도 없습니다. 그(그녀)는 늘
전통적으로 우리는 예배, 선교, 봉사, 엄마의 아이로 세상을 살아가야 합니다.
교육을 교회의 과제로 배웠습니다. 그리 떠나가도록 허락하지 않는 어머니를 가진
고 16세기 이후 리처드 후커와 존 웨슬리 아이는 불행합니다. 마찬가지로 아이를
전통의 신학자들은 신학의 네 가지 근거 떠나보내지 못하는 어머니도 불행합니다.
로 성서, 전통, 경험, 이성을 제시합니다. 어머니가 되는 순간 자기의 모든 에너지 그녀는 아이를 자기 안에 가두고 보호하
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갖고 있긴 하지만 와 생각을 아기에게 맞춥니다. 아기를 위 느라 자신을 위한 삶을 살지 못합니다.
저는 신학의 네 가지 근거 중에 1차적 근 해 음식을 골라 먹고 좋은 생각과 좋은 음
거를 성서로 보고, 나머지 셋은 성서에 의 악 등으로 정제된 삶을 살기 시작합니다.
존하고 있는 2차적 근거로 생각하고 싶습 아기를 품은 어머니의 삶은 아기에게 온
니다. 마찬가지로 교회의 존재이유가 선 통 집중됩니다. 그리고 몸을 풀어 아기를
교에 있다고 한다면 교회의 네 가지 과제 세상에 냅니다. 아기가 세상에 출생된 순
중에 1차적 과제가 선교이고 나머지 셋은 간부터 어머니의 관심은 절대 의존적인
선교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 아기가 이 땅에서 새로운 정신적 존재로
니다. 탄생하도록 돌봅니다. 여성은 모성으로
삼위일체 하나님의 소통을 통한 연합 전환되고 어머니의 모든 삶의 중심은 아
은 너를 세워주고 너와 하나이면서 동시 기에게 맞춰집니다.
에 너와 구별되는 선교 사역의 핵심 구조 그리고 때가 되면 아기는 엄마의 품을 노자에 따르면 가장 훌륭한 지도자는
를 보여줍니다. 자기를 비우시고 자기를 떠납니다. 기고 서고 걷기를 연습하면서 너를 지배하지 않으면서 너가 네 인생의
넘어 우리 가운데 오신 하나님은 문화와 엄마의 품을 떠나갑니다. 학교에 진학하 주인이 되도록 하는 지도자입니다. 이런
국경을 넘는 선교사들의 원형입니다. 우 고 친구를 사귀면서 점점 아기는 자기의 지도자가 도를 실현한 지도자입니다. 지
리의 존재됨과 우리의 진정한 모습은 선 삶을 넓혀 갑니다. 일터를 찾고 이성을 만 도자는 지도자를 낳는 자입니다. 우리의
12 Mission Journal